본 연구는 북한강 상류 지역 내 물과 관련한 다양한 시설을 연계한 물 테마 클러스터 조성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지역통합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물 테마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기본조사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강원도 기후변화와 물관리
2. 북한강 상류지역 유역 현황
3. 물 관련 랜드마크 활용사례 조사
4. 물 테마 클러스터 제안
5. 물 테마 클러스터 조성 방안
주요연구내용
- 우리나라와 강원도의 기후현황 분석
- 개최지 주변 시민 대상 기후변화 인식 조사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대최지 주변 기후변화 전망
- 동계올림픽 환경계획 조사
- 개최지 주변 기후 모델링
- 기후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적지 선정 방법론 제시
주요연구내용
- 지속가능발전의 이론적 배경
- 지속가능성에 관한 국제적 동향 및 기준
- 해외 올림픽 지속가능전략 사례분석
- 2018평창동계올림픽 전문가 인식도 분석
- 2018평창동계올림픽 지속가능전략
보고서내용은 다음과 같다.
- 평창녹색성장 포럼의 비번과 전략
- 세계적인 국제포럼의 대표적 사례
- 마스터플랜
- 기대효과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뭄지수를 활용한 강원도내 가뭄분석
- Downscaling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시군별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성
- 기후변화에 따른 기간별 시군별 가뭄지수 예측
- 가뭄관리지수를 통한 미래 장단기 가뭄 주의 및 우려지역 선정
- 가뭄극복을 위한 대책 및 수자원 확보방안제시
- 가뭄대책 정책실현가능성 평가
- 가뭄대책 적용성 검토(지표수-지하수 연계)
* 시스템문제로 보고서 전문 내려받기에 문제가 있을경우 연구책임자(sinslee@crik.re.kr)로 연락주시면 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저탄소상품의 생산 및 보급 확대를 통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저탄소상품 인증을 위한 「탄소성적표지제도」가 시행 중에 있다. 또한 정부는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확산을 위하여 인증완료 제품에 대하여 “정부차원의 판매 홍보”와 정부 및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관련 포상 추천, “정부주도 구매활성화 대상 제품”에 “저탄소상품인증” 제품 포함(예정)을 통해 저탄소 제품의 보급 확대를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소성적표지제도와 연계하여 도내 저탄소 제품의 생산 확대 및 탄소성적 인증을 통한 기업 수익 증대를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하여 추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탄소성적표지제도 개요 분석
1) 탄소성적표지제도 일반개요 분석
2)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현황
3)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절차 및 문제점 분석
4)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인센티브 분석
2. 시범 인증 대상 특산품 선정
1) 도내 특산품 현황 분석
2) 관계기관 협의를 통한 인증 대상 제품 선정
3) 인증 대상 특산품의 당위성 확보
3. 우수 특산품의 탄소성적표지제도 시범 인증
1) 제품의 탄소배출량 시나리오 선정
2) 제품의 탄소배출량 산정(계수, 방법론 선정)
3) 탄소성적표지제도의 인증 신청
4) 탄소성적표지제도의 인증 현장 실사 대응
5)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서 발급
4.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확대방안 마련
1) 탄소성적표지 제도 인증을 통한 인센티브 활용방안 분석
2)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확대방안 마련
3) 도내 인증확대를 통한 기대효과 분석
4) 도내 탄소성적표지제도 인증 지원 방안 마련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강원도 온실가스 배출현황
- 강원도 중장기 온실가스 배출 전망 및 감축 잠재량 분석
- 강원도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 강원도 온실가스 감축 전략 수립
- 향후 정책 방향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발전소 온배수 발생 현황 및 사용실태
- 발전소 온배수 활용 사례 및 개선점
- 영월천연가스발전소 온배수 활용의 기본방향
- 영월천연가스발전소 온배수 활용의 로드맵 수립 및 시범사업 아이템 선정
- 영월천연가스발전소 온배수 활용 시범사업(안) 제시 및 타당성 분석
- 향후 정책 방향
지자제별 녹색성장 5개년계획 비교분석을 통한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계획 발전방안 수립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국내 16개 광역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5개년계획의 비교분석을 통한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계획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녹색성장 담당자 설문과 정부 녹색성장 5개년계획의 10대목표를 기준으로 지자체별 녹색성장 5개년계획의 목표별 사업내용, 예산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사업계획을 분석하였으며,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계획의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분석
- 국내외 기후변화 관련 법제정 현황 분석
- 국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동향 분석
- 중앙 정부 부처별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계획 분석
2. 국내 지자체별 녹색성장 관련 정책 비교분석
-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 교통, 건물, 에너지공급 등 부문별 주요 시책 비교
- 주요 사업별 예산 내역 및 항목 분석
3.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의 분석
-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 기초적 예상 효과 분석
- 부문별 계획 비중 및 예산 분석
4.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의 발전방안 도출
- 국내 광역지자체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강원도 녹색성장 5개년계획의 세부 사항별 발전방안 도출
강원도는 영동, 영서지방의 지역적 차이 및 기후여건의 차이로 인하여 지역에 적당한 가로수 선정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적합한 가로수 선정을 통한 도시 및 지역의 특화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의 기후변화 대비 적합한 가로수 선정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강원도의 기후변화 현황과 18개 시·군 전체의 식재 가로수 현황 파악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를 통한 가로수 개념을 정립하고, 타 지자체의 가로수 현황 분석과 국외 가로수 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현재 대표 가로수의 생육범위에 대한 연구와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식재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역에 적합한 강원도 가로수 선정에 대한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