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게시물 검색
53개의 글이 있습니다.
  • 33.
    연구책임 : 이대한 등록일 : 2018-04-20 분량/크기 : 74page 일련번호 : 2017-06

    본 보고서는 2017년 한국기후변화연구원 기본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조정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이대한 선임연구원(korea@kric.re.kr 033-259-0162)

     

    연구보고서 목차 --------------------------------

     

    연구요약

      1장 서 론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2절 연구개요

      2장 본 론

        1절 국내 연료전지 기술현황 및 보급현황

              1.1. 국내 연료전지 기술현황

              1.2. 국내 주택 및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현황

            1.3.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현황

        2절 강원도 내 연료전지발전 사업 여건조사

              2.1. 강원도 연료전지 정책 및 보급현황

             2.2. 연료전지 잠재적 수요 조사 

        3절 연료전지의 경제적 및 환경적 효과분석

              3.1. 주택용 연료전지 보급효과 분석

              3.2. 발전용(건물용) 연료전지 보급효과 분석

       3장 결 론

         1절 연료전지 발전 사업화 모델 제시 

             1.1. 주택용 연료전지 사업화 모델

             1.2.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화 모델

          제2절 결론 및 제언 

       제4장 참고문헌

        부록   

     

     

     

  • 32.
    연구책임 : 정유경 등록일 : 2018-04-20 분량/크기 : 86 일련번호 : 2017-004

    본 보고서는 2017년 한국기후변화연구원 기본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조정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정유경 부연구위원(ykjung@kric.re.kr 033-259-0161)

     

    연구보고서 목차 --------------------------------

     

    연구요약

      1장 서 론

        1절 연구배경

        2절 연구개요

          2.1. 연구 범위 

              2.2. 연구 수행절차

        2장 본 론

        1절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1.1.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

              1.2. 부문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2절 강원도 온실가스 배출량

              2.1.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3절 강원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3.1. 강원도 온실가스 배출전망

              3.2.강원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4절 강원도 온실가스 감축 기반 평가

              4.1. 온실가스 감축 사업 현황

              4.2. 온실가스 감축 인프라 구축 현황

        3장 결 론

        1절 결론 및 제언

        부록 

     

  • 31.
    연구책임 : 정유경 등록일 : 2018-04-20 분량/크기 : 88 일련번호 : 2016-01

    본 보고서는 2016년 한국기후변화연구원 기본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조정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정유경 부연구위원(ykjung@kric.re.kr 033-259-0161)

     

    연구보고서 목차 --------------------------------

     

    연구요약

    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개요

          2.1. 연구 범위 

          2.2. 연구 수행절차


    2장 본 론

      1절 강원도 중소기업 현황

          1.1. 강원도 사업체 현황

          1.2. 강원도 중소기업 에너지 소비현황    

       제2절 중소기업 지원사업 현황

          2.1. 도내 정부 지원사업 수행 현황

          2.2. 에너지 관련 정부 지원사업

          2.3. 에너지 관련 정부 지원사업 시행 사례

      3절 정부 지원사업 추진 대응전략

     

    3장 결 론


    부록 

     

     

     

     

     

     

  • 30.
    연구책임 : 신광수 선임연구원 등록일 : 2018-04-16 분량/크기 : 108쪽 일련번호 : 2016

    본 보고서는 2016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기본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국내·외 탄소배출권 정보시스템 구축 사례 조사, 탄소배출권 정보시스템 기본 설계, 사용자 및 운영자에 대한 교육지원 을 통하여 상쇄 및 탄소배출권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연구조정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신광수 선임연구원(kwangsoo.Shin@kric.re.kr 033-259-0128)

     

    연구보고서 목차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 및 수행체계


    제2장 정보시스템 사례 조사 및 분석
     제1절 국내 정보시스템 사례조사
      1. 온실가스종합정보시스템(NGMS)
      2. 상쇄등록부 시스템(ORS)
      3. 배출권거래소(KRX)
      4. 사례 분석결과 및 시사점


     제2절 해외 정보시스템 사례조사
      1. 시카고 기후거래소
      2. 독일 배출권거래소(EEX)
      3. 사례 분석결과 및 시사점


    제3장 정보시스템 컨텐츠 구성 전략
     제1절 홈페이지 컨텐츠의 구성 전략
      1. 정보시스템 기본설계
      2. 정보시스템 구성방향
      3. 이해관계자 정의
      4. 정보시스템 핵심 기능 정의


     제2절 홈페이지 컨텐츠의 구성
      1. 메인페이지의 구성
      2. 세부페이지의 구성


     제3절 세부 컨텐츠별 기능
      1. CEG
      2. Market Data
      3. Emission Trading
      4. Offset Project
      5. Carbon Report
      6. Support


    제4장 홈페이지 운영 매뉴얼
     제1절 홈페이지 운영 매뉴얼의 구성
      1. 홈페이지 운영 매뉴얼의 구성
      2. 관리자 페이지의 구성
     

     제2절 홈페이지 운영 매뉴얼
      1. 관리자 로그인
      2. 관리자 메인화면
      3. 기본정보 관리
      4. 디자인 관리
      5. 회원 관리

      6. 게시판/컨텐츠 관리
      7. 사업 관리
      8. 거래 관리


    제5장 결론 및 홈페이지 활용방안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제2절 홈페이지 활용방안

     

  • 29.
    연구책임 : 박수진 부연구위원 등록일 : 2016-12-31 분량/크기 : 139 일련번호 : 2016-02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2016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정책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와 관련된 내용은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박수진 부연구위원(parksj1023@gmail.com. 033-259-0152)

     

    ○ 연구의 주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의 연간 총 강수량 예측

    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 수자원량 산정 및 전망

    3)  공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 수요 용수량 산정 및 예측

    4) 강원도 주요지방하천의 기준유량 전망

    5) 강원도 주요 지방하천 재현기간별 갈수빈도 해석

    6) 수자원 관리를 위한 이수확보 방안 제언

     ○ 연구목차

    연구요약 

     

    1장 서 론 3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3절 연구수행 방법 5

     

    2장 용수량 이용현황 및 전망 9

    1절 용수량 이용현황 9

    1. 농업용수 9

    2. 생활용수 11

    3. 공업용수 13

    2절 수요용수량 전망 15

    1. 농업용수 15

    2. 생활용수 17

    3. 공업용수 18

     

    3장 강수량 및 강의 수량 전망 23

    1절 강수량 및 강의수량 전망(RCP 8.5) 24

    1. 강수량 전망(RCP 8.5) 24

    2. 강의 수량 전망(RCP 8.5) 34

    2절 강수량 및 강의수량 전망(RCP 4.5) 45

    1. 강수량 전망(RCP 4.5) 45

    2. 강의수량 전망(RCP 4.5) 55

     

    4장 하천유황 및 갈수빈도 해석 67

    1절 하천유황 전망 67

    1. RCP 8.5 하천유황 67

    2. RCP 4.5 하천유황 71

    2절 갈수빈도 해석 74

     

    5장 강의 수량 부존량 전망 79

    1절 강의 수량 부존량 79

    1. RCP 8.5 79

    2. RCP 4.5 100

     

    6장 수자원 확보방안 및 제언 123

    1절 수자원 확보방안 123

    1. 보 계획을 통한 지표수 관리 123

    2. 저류지 시설을 통한 지표수 관리 125

    3. 지하댐 운영 127

    4. 지하의 차수시트를 이용한 빗물저장시설 130

    5. 스테인리스 탱크를 이용한 빗물 이용 132

    6. 건물 지붕의 빗물을 활용한 컨테이너형 빗물 저장시설 133

    7. 통합수자원 관리(IWRM) 134

    2절 제 언 135

     

    참고문헌 137

  • 28.
    연구책임 : 김재윤 선임연구원 등록일 : 2016-06-13 분량/크기 : 총 167페이지 일련번호 : 2016
    본 연구보고서는 2015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기본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베뉴도시 내 조림대상지 및 산림탄소상쇄사업 가능 대상지 등 사업 추진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2018평창동계올림픽에서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에 따라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연구조정위원회에서는 본 보고서를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의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김재윤 선임연구원(탄소배출권사업단 탄소정책팀 팀장,  jaeyoon.kim@crik.re.kr, 033-254-2168)

     

    ----------------------------------------------------------------------------------------------

     

    1. 연구 목적

     

    첫째, 2018평창대회 상쇄 전략의 구체화

    2018평창동계올림픽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는 탄소상쇄 프로그램 등록(POCOG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통한 상쇄 전략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산림 조성을 통한 탄소 상쇄 프로그램 등록 및 배출권 확보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방향 및 상쇄 잠재량을 제시함

     

    둘째, 탄소 상쇄 프로그램 등록을 위한 산림 조성 대상지 조사 및 발굴

    2018평창대회의 상쇄 기준에 부합하는 탄소 상쇄 프로그램의 조사와 더불어 해당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산림조성 대상지를 발굴함으로써 2018평창대회의 온실가스 상쇄에 기여하고자 함

     

    2. 연구 내용

      2.1 선행올림픽 상쇄 사례 조사 및 분석

       -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이후부터의 올림픽 상쇄 현황 조사

       - 선행올림픽 산림조성사업 사례 조사

       - 선행올림픽 산림조성사업 및 상쇄현황 조사결과를 토대로 2018평창동계올림픽 측면의 시사점 도출


      2.2 국내외 산림탄소상쇄 프로그램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 조사

       -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별 산림분야의 특성 조사 및 분석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평창대회에 적용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 제안


      2.3 산림조성사업 가능 대상지 조사 및 분석

       - 산림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을 위한 요건 정의

       - POCOG 산림조성계획 조사 및 분석

       - 베뉴도시를 대상으로 산림조성사업 가능 대상지 조사

       - 산림조성사업 가능 대상지별 온실가스 감축 추진 가능성 분석


      2.4 산림조성을 통한 배출권 확보방안 도출

       - 산림조성사업 가능 대상지별 온실가스 상쇄 잠재량 분석

       - 시범사업 대상지 선정 기준 수립 및 선정(안) 제안

       - 사업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 방안 제시

  • 27.
    연구책임 : 엄기증 부연구위원 등록일 : 2016-06-13 분량/크기 : 105 페이지 일련번호 : 2015-001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2015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정책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와 관련된 내용은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엄기증 부연구위원(gjum@kric.re.kr. 033-259-0151)

     

    ○ 연구의 주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백두대간 기후부문 모니터링

    2) 기 구축된 백두대간 기후자료 활용 미래기후예측 모델링 

    3) 백두대간 기후변화 생태모니터링에 대한 지표 선정

    4) 모니터링 정량적 자료 추출을 위한 조사방법 프로토콜 작성

    5) 장기적인 백두대간 기후변화 생태모니터링 수행방안 마련

     

    ○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필요성

    제3절 연구 추진절차

    제4절 연구 한계점

    제2장 국내외 연구사례

    제1절 생태모니터링 연구사례

    1.국내사례

    2.국외사례

    제2절 모니터링 프로토콜 사례

    1.국내사례

    2.국외사례

    제3장 백두대간 강원권역 기후부문 모니터링

    제1절 기후데이터 조사

    제2절 기후 데이터 set 구축

    제3절 '15.7~'15.12 기후부문 모니터링

    제4장 백두대간 강원권역 미래 기후 전망

    제1절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요

    제2절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모니터링 개요

    1.연구재료

    2.연구방법

    3.연구지역

    제3절 조사지점별 측정치

    제4절 조사지점별 미래 기온변화 전망

    제5절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백두대간의 평균기온 변화

    제5장 백두대간 강원권역 모니터링 프로토콜

    제1절 프로토콜 개요

    제2절 프로토콜 구성방법

    제3절 부문별 세부 프로토콜

    1.기후부문

    2.식물부문

    3.무척추 동물 부문

    4.척추동물 부문

    제4절 프로코톨 적용시 주의사항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향후 연구 추진방향

    참고문헌

  • 26.
    연구책임 : 박수진 부연구위원 등록일 : 2016-03-29 분량/크기 : 00페이지 일련번호 : 2016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2015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정책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와 관련된 내용은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박수진 부연구위원(parksj1023@gmail.com. 033-259-0152)

     

    ○ 연구의 주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강원도 지방하천의 수리 수문특성 조사

    2)  하천 만곡 유출입각 및 홍수량에 따른 세굴심의 편차율을 산정

    3)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세굴에 미치는 지배인자 정량적 제시

    4)  강원도 하천에 적합한 세굴심 산정식 제시 및 교량설계 가이드라인 수립

     

    ○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3절 연구수행 방법

     

    제2장 세굴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세굴심의 정의

    제2절 세굴심의 구분

    1. 장기하상저하

    2. 수축세굴

    3. 국부세굴

    4. 교대 세굴심

     

    제3장 세굴심 산정 및 산정식 제안

    제1절 홍수량 및 만곡도에 따른 기존 산정식 세굴심 산정

    1. 만곡부에서의 교량 세굴심 편차

    2. 홍수량과 하천만곡도에 따른 교량 세굴심 편차율 관계식

    제2절 모형실험과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비교

    1. 강원도 지방하천의 수리특성 및 교량제원

    2. 모형실험 값과 기존 산정식에 의한 세굴심 산정 비교

    제3절 세굴심 산정식 작성 및 제안

    1. 세굴인자 영향력 검토

    2. 세굴심과 세굴심 인자간 상관분석

    3. 세굴심 산정식 작성 및 제안

    4. 세굴심 산정식 검증

     

    제4장 세굴보호공 설계

    제1절 세굴보호공법

    제2절 사석보호공

    1. 사석중량 및 사석직경

    2. 사석보호공의 설치범위

    제3절 콘크리트 블록 보호공

     

    제5장 결 론

    제1절 가이드라인 수립

    제2절 제 언

     

     

    참고문헌

  • 25.
    연구책임 : 이충국 연구위원 등록일 : 2016-02-29 분량/크기 : 총 203페이지 일련번호 : 2015-002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2015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정책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조림CDM 방법론, 사업현황, 북한 CDM 사업현황, 국내 조림CDM 사례, 북한 조림사업 현황 및 사례 등을 분석하여

    북한의 조림 CDM 사업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고성CDM의 세부사항, 북한의 구체적 사업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음에 따라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연구조정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서 열람이 불가하며,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책임자 : 이충국 연구위원(chungkugi@naver.com. 033-254-2104)

     

    연구보고서 목차 --------------------------------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방법

     

    제2장 조림 CDM 사업현황 및 국내 추진사례

     제1절 북한의 기후변화 현황 및 영향

      1. 북한의 기후변화 현황

      2. 북한의 기후변화 영향

     제2절 북한의 온실가스 배출현황

      1. 북한의 온실가스 배출량

      2. 북한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제3절 북한의 기후변화 정책 현황

      1. 북한의 기후변화협약 이행 체계

      2. 북한 온실가스 감축전략 및 정책

     제4절 북한의 온실가스 감축계획

      1. 북한의 온실가스 감축옵션

      2. 온실가스 감축사업 우선순위

     제5절 국제사회 요청사항

      1. 국제사회 요청사항 개요

      2. 역량강화 지원

      3. 사업자금지원

     

     

    제3장 북한 CDM 사업

     제1절 북한의 CDM 사업 추진배경 및 목적

      1. 북한의 CDM 사업 추진배경

      2. 북한의 CDM 사업 목적

     제2절 북한의 CDM 사업 추진현황

      1. 북한의 CDM 사업유형별 추진현황

     제3절 북한의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

      1.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별 개요

      2.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가능성

     

     

    제4장 북한 내 조림 CDM사업 추진전략

     제1절 국제 조림 CDM 개요

      1. 북한 조림 CDM 사업 추진을 위한 초기 북한과의 논의방향

      2. AR CDM 방법론 분석

      3. AR CDM 사업 등록현황

      4. AR CDM 거래시장

      5. AR 사업의 제도별 사업등록절차 비교

     제2절 조림 CDM 사업의 핵심이슈

      1. 사업 발굴 및 설계 단계에서의 이슈분석

       1.1 CDM EB(Executive Body) 결정문 준수

       1.2 사업대상자 선정 및 적격성 입증

       1.3 사업의 규모

      2. 사업계획서(PDD) 작성 단계에서의 이슈

       2.1 사업 대상지 경계

       2.2 영속성 (Permanence)

       2.3 추가성 (Additionality)

       2.4 누출 (Leakage)

       2.5 지역사회의 참여

      3. 흡수량 산정 단계에서의 이슈분석

       3.1 감축량 산정을 위한 선행 과정

       3.2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4. 타당성 평가 단계에서의 이슈 분석(고성 CDM 사례 중심)

       4.1 타당성 평가(Validation) 과정 지적사항별 답변 및 제출서류

       4.2 타당성 평가(Validation) 현장실사

     

    제5장 북한 내 조림 CDM사업 추진전략

     제1절  북한 조림 CDM 사업 추진을 위한 초기 북한과의 논의방안

     제2절  조림대상지 및 조림수종의 선정 등 사업 계획 단계의 핵심고려사항

     제3절  북한 내 조림대상지의 CDM 사업 요건의 증빙방법

     제4절  조림 사업비 예산 수립과정의 고려사항 및 사업비 산정 예시

     제5절  통일부의 사업 추진 허가 상세 절차 및 단계별 고려사항

     제6절  북한의 CDM 관련 이해관계자 및 의사결정구조 분석

     제7절  북한과의 CER 소유권 분배과정의 핵심고려사항

     제8절  북한 조림 CDM 사업 등록 전과정의 단계별 R&R 분석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국내 A/R CDM 사업의 타당성 및 적격성 검토

     부록 2. 고성 A/R CDM 대상지 초지조성허가서

     부록 3. 모필지와 현재필지의 경계확인

     부록 4. 강원도 고성군 흘리 Strata 구분방법 (A/R CDM 프로젝트 관련)

     부록 5. A/R CDM 대상지에 대한 적격성 분석

     부록 6. 강원도 고성군 A/R CDM 산림경영계획

     부록 7. 고성군 사회경제 조사보고서 (A/R CDM 프로젝트 관련)

     부록 8. 재적 및 생체량 회귀식 산정에 사용된 자료

     부록 9. 수종별 온실가스 흡수량 연간추이

     부록 10. 사업의향서

     부록 11. 타당성 현지실사 계획서

  • 24.
    연구책임 : 이상신 책임연구원 등록일 : 2014-12-31 분량/크기 : 149쪽 일련번호 : 정책연구-001
    본 연구는 강원도민이 참여하는 지역 기후변화 적응사업을 발굴하여 법정계획인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 계획의 신규사업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강원지역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의 내용적 범범
    - 기후변화 적응의 필요성
    - 빅데이터에 의한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변화 조사
    - 적응대책 수립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 분석
    - 현명한 기후변화적응대책 수립에 대한 정의
    - 강원도 적용가능 적응사업 발굴
    - 강원도민 대상 기후변화 적응사업 아이디어 공모전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