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보고서에 대한 자료 및 연구내용 문의는 연구책임자인 정유경 부연구위원(ykjung@kric.re.kr; 033-259-0161)에게 연락 바랍니다.
<핵심이슈>
- 전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항공산업 발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서 바이오항공유를 채택
※ 국내에서는 육상용 바이오 디젤 산업이 존재하나 육상 교통수단은 전기 또는 수소 등의 타 연료로 대체 가능한 것과 비교하여 항공기는 바이오항공유가 직접적인 온실가스 감축의 유일한 수단
- 바이오항공유는 생산기술은 원료와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 바이오항공유 관련 제조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국방부에 의해 일부 추진되었으나, 생산을 위한 원료수급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해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원료 확보가 선결되어야 함
- 국내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지속가능한 원료 수급 방안 확보 필요
※ 다양한 원료 중 산림자원과 수자원이 풍부한 우리나라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와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에 중점 연구가 필요
-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강원도의 원료 수급 여건 분석 필요
※ 기존 산림자원을 훼손을 방지하고 산림자원의 긍정적 활용을 위해 가용한 산림자원 양에 대한 상세 지도 작성 및 최적 수거체계를 수립
※ 해양미세조류 확보가능성 점검을 위해 가용한 열원 인근 해안지역의 해수이용가능성을 점검하고, 담수미세조류는 도내 가용 댐 및 호소의 미세조류 생육여건 및 가능성 진단과 열원 확보 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을 실시
<정책시사점>
① 바이오항공유를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은 해외 주요국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차원에서 적극 활용할 것을 독려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
② 우리나라는 바이오항공유 제조기술 연구의 초기단계로서 원료수급부터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원료 확보에 따른 연료개발 기술의 선택과 집중이 요구
③ 강원도는 바이오항공유 원료인 미세조류와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확보할 수 있는 수자원 및 산림 자원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와 확보 기반 구축 마련이 필요